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르메니아 교회의 정체성 규명

이용수 181

영문명
An Identity of the Armenian Church
발행기관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저자명
박태성(Park, Tae Sung)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12권 제1호, 385~41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아르메니아 교회의 실체와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 그 발달과정과 소비에트 시기를 조망하며, 오늘날 교회가 어떤 문제에 봉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AD 4세기 경 대부분의 국가들이 기독교를 공인할 무렵, 아르메니아도 가장 먼저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하였다. 당시 아르메니아 인들은 로마 제국의 강력한 정치적 종교적 관할 하에 놓여 있었지만, 아르메니아 교회는 451년 할키돈 종교회의에서 공식적으로 결의된 그리스도의 양성(신성과 인성)론에 반기를 들어 비잔틴으로부터 독립하였다. 그리하여 아르메니아 교회는 중세 초기 이후부터 정교나 가톨릭과 별도로 법률적·신학적으로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민족교회로서 아르메니아 교회는 아르메니아의 문화와 독자성을 유지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아르메니아 인들이 국가가 없던 오랜 시기 동안 그들의 교회는 정치적·정신적 리더였고, 종교는 아르메니아 국민들 자화상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소비에트 체제 하에서도 아르메니아 교회는 생존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사제장 중심으로 적극적인 활동을 벌였다. 특히 별개의 삶과 자치를 누리고 있는 대규모 디아스포라는 아르메니아 교회가 소비에트 정부에 맞선 독자적인 행보를 가능케 해주었다. 오늘날 아르메니아 교회는 또 다른 사회문화적·정치종교적 맥락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찾고 있으며, 다양한 문제들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더 이상 동질 집단이 아닌 아르메니아 교회는, 새로운 정체성을 찾기 위해 글로벌한 접근을 통해 이러한 난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ubstance and an identity of the Armenian Church, and deals with the historical progress, the Soviet era, and the problems of modern Church. Mostly Christians since the early fourth century AD, the Armenians claim to represent the first state to adopt Christianity as an official religion. Armenian Christians then remained under the powerful combined religious and political jurisdiction of the Roman Empire. But the Armenian Church asserted its independence by breaking with the Byzantine doctrine of Christ's dual(divine and earthly) nature, which had been expressed officially by the Council of Chalcedon in AD 451. Since the early Middle Ages the Armenian Church has been juridically and theologically independent. As a national church, the Armenian Church has played a vital role in maintaining Armenian culture and individuality. In the long periods when Armenians did not have a state of their own, their church was both a political and a spiritual leader, and religion was at the center of the Armenian national self-image. While Armenia under Soviet rule, the Armenian Church headed by Catholicos actively employed in surviving and establishing of the identity. Especially, a large-scale Armenian diaspora, which had a self life and autonomy, enabled the Church to act its own against the Soviet regime. The Armenian Church today find itself in different socio-cultural and politico-religious contexts, and is exposed to diverse problems and challenges. The Church is no longer a homogeneous society, therefore to find new identity it has to apply global approaches to deal with the complicate problems.

목차

I. 머리말
II. 아르메니아 교회의 정체성 확립과정
III. 정체성 유지를 위한 투쟁시기
IV. 교리적 특성과 현대적 과제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태성(Park, Tae Sung). (2010).아르메니아 교회의 정체성 규명. 동유럽발칸학, 12 (1), 385-412

MLA

박태성(Park, Tae Sung). "아르메니아 교회의 정체성 규명." 동유럽발칸학, 12.1(2010): 385-4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