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리투아니아 목공예의 상정체계

이용수 63

영문명
The symbolism of Lithuanian Wooden Carving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서진석(Sea, Jinseok)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18권, 307~33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리투아니아의 전통 목공예 중 십자가 공예는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한 바 있다 전통적으로 리투아니아는 모든 마을 어귀나 신작로마다 십자가를 세우곤 했으며, 가로와 세로로 나무가 십자로 연결된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리투아니아인들의 상상력과 전통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상정이 그 속에 첨가되어있다 그 상징은 우리의 상상 력을 뛰어넘어서, 우리가 미처 기억하지 못하는 고대의 이야기들이나 이미 사라져 버린 리투아니아의 고대 종교의 모습, 그리고 리투아니아 민족들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세계관들을 투영하는 요소이며, 그 가치와 독창성은 거의 세계적인 수준으로, 그것은 유네스코를 통해서도 인정 되었다. 이 논문은 한국인들에게는 소개가 된 적이 없는 리투아니아의 전반적인 목공예 속에 숨어 있는 여러 상징적인 요소들을 찾아보고, 목공예가 그런 신비로운 상징들을 전달하는 도구가 된 이유를 고찰해 본다. 크게 십자가 공예와 성인 조각과 일상생활 용품이 중심이 되는 일반 조각으로 나뉘는 리투아니아 목공예는, 멀게는 중세시대 금지된 리투아니아의 종교 사상을 후대에 전달하는데, 최근에는 종교가 억압된 소 련 시대 말없는 항거의 상징이거나 독특한 변형된 형태로 반소사상과 기독교 사상을 전파하는데 사용이 되었다 이런 상정의 전통은 단지 목공예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장르로 확장되고 있고, 현재 리투아니아의 명성을 세계에 알리고 있는 리투아니아 무대예술이 가지고 있는 고도의 상징성 역시 이런 상징적 전통과 무관하지 않다. 이 글의 내용은 2002 년부터 2003 년까지 리투아니아의 거의 모든 지역을 직접 탐방한 본인의 현장탑사를 바탕으로 했다.

영문 초록

Lithuania has the abundant tradition of wooden carving and the traditional cross craft was enlisted to the list of World Heritage of UNESCO in 2002. Traditionally Lithuanians used to erect the wooden crosses in the entrance to villages and at every crossroads to prevent residents from the evil. The crosses of Lithuania have rather complicated character than the normal crosses where two long panels are connected in the middle and various symbols are engraved with the diversified meanings ; the ancient history of Europe, which already disappeared from our memory, the image of prehistoric religion of Lithuania, and the very characteristic view of world of which uniqueness and creativeness were acknowledged by UNESCO. The aim of the article is to present the diversified symbolic images engraved in Lithuanian wooden crafts to Korean Readers and to analyze the reason that the wooden craft became the means to convey the symbolism to descendants. Lithuanian wooden carv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large categories; the cross carving(the simple crosses, and other crosses with the architectural construction), the figure carving (the carving of saints, legendary or mythical characters,) and the carving for daily usage (the agricultural tools, weaving needles, toys and musical instruments). The symbols engraved in diversified wooden crafts functioned as the means to convey the concept of the ancient religion discontinued since the christianization in the medieval times. They were also used for conveying the christianity and the anti-soviet mind to people during the soviet time. The tradition of symbolism still extends to other genres of culture other than wooden crafts, and Lithuanian theater which contributes to the reputation of Lithuanian culture abroad is not irrelevant to the tradition of symbolism. The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based on my field work in Lithuania from 2002 till 2003.

목차

I. 들어가는 말
Ⅱ. 리투아니아 목공예의 분류와 기능
Ⅲ. 리투아니아 목공예에 등장하는 상징적 모티브와 평가
Ⅳ. 민요에서 반소운동까지 - 상징양식의 변천사
V. 결론 - 다시 피어나는 상징체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진석(Sea, Jinseok). (2007).리투아니아 목공예의 상정체계. 동유럽발칸연구, 18 , 307-335

MLA

서진석(Sea, Jinseok). "리투아니아 목공예의 상정체계." 동유럽발칸연구, 18.(2007): 307-3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