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皇龍寺 重建期 瓦當으로 본 新羅의 對南朝 交涉

이용수 396

영문명
A Study on Silla Dynasty's Negotiation against Southern Dynasties from the Aspect of Roof-end Tiles of Hwangyongsa Temple in the Reconstruction Period:With Emphasis on Round Roof-end Tiles with Raised Bands of Lotus Flower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조원창(Cho weon cha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52호, 25~4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5.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황룡사는 진흥왕이 창건한 신라의 대표적 사찰로 553년 月城 동쪽에 새로운 궁궐을 지으려고 할 때 황룡이 나타나자 寺로 짓기 시작하였으며 574년에는 丈六尊像을 주조하여 안치하였다. 그리고 10년 후인 584년에는 금당을 건립하였다. 황룡사 중건기 와당은 연화돌대문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진흥왕이 백제와의 관산성 싸움이후 한강유역의 명실상부한 패권자가 되면서 중국 남조와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유입된 것이다. 이 같은 추정은 당시 진흥왕이 황룡사를 중건하지 앞서 남조 陳과의 밀접한 교류를 실시하였다는 『삼국사기』기록을 통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황룡사 창건가람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고구려계 및 백제계의 와당을 통해서도 이러한 중건가람의 연화돌대문 와당이 외래(중국 陳代)의 製瓦術로 제작되었음을 알게 한다. 이 와당 형식은 신라 이후 통일기까지 유행하였으며, 일본 국지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영문 초록

Hwangyongsa Temple is a representative temple of Silla which was established by King Jinheung.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was started when a yellow dragon appeared at the construction site for new palace in the east of Wolseong in A.D.553 and then they changed the plan to establish a temple instead of palace and in A.D.574, they erected a sixteen feet high cast metal statue called 'Jangyukjonsang'. In 584, 10 years thereafter, main building of the temple was established. The Roof-end tiles in the reconstruction period of Hwangyongsa Temple had the form of raised bands with lotus flowers, which came into Silla through direct trading with Zhen Dynasty in southern part of China after King Jinheung had taken the supremacy over the area of han River basin after the Gwansan Castle battle with Baekje. This inference can be supported from the historic records of 'Samgukdagi' telling that King Jinheung had close trading relationship with Zhen Dynasty in southern part of China before the King reconstructed Hwangyongsa Temple. Futhermore seeing the roof-end tiles used in Goguryo and Baekje which were supposed to be have been used for the Foundation of Hwangyongsa Temple, it is revealed that such roof-end tiles with raised bands of Lotus flowers used for the reconstruction of Hwangyongsa Temple must have been produced based on foreign roof tile manufacturing skills, that is from Zhen of China. Such roof-end tile type prevailed until after the time of unified Silla, and shows its effect in certain castles of Japan at that time.

목차

요약
Ⅰ. 序論
Ⅱ. 皇龍寺 重建期 蓮花突帶文 瓦當 資料
Ⅲ. 中國 南朝의 蓮花突帶文 瓦當 檢討
Ⅳ. 新羅의 對南朝 交涉과 製瓦術의 導入
Ⅴ. 結論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창(Cho weon chang). (2006).皇龍寺 重建期 瓦當으로 본 新羅의 對南朝 交涉. 한국상고사학보, (52), 25-43

MLA

조원창(Cho weon chang). "皇龍寺 重建期 瓦當으로 본 新羅의 對南朝 交涉." 한국상고사학보, .52(2006): 25-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