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에 나타난 순환 구조

이용수 1121

영문명
The structure of cycle in a drama of 「A watchman」 written by Yi Gang-Bak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미선(Kim Mi Su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9권 제1호, 21~4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2.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70년 대 이강백의 희곡을 그 당시 정치적 상황의 알레고리로 이해하는 것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지나치게 밀접하게 연관지음으로 작품의 본질을 제대로 보지 못한 협소하고 자의적인 해석이라고 하겠다. 작품 자체의 충실한 분석이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며 보다 작품의 본질에 접근한 분석이라고 보고 본고에서는 「파수꾼」의 작품 해석에 주력하면서 작품의 구조를 네 가지 관점에서 보았다.
  첫째는 폭력의 순환구조로 작품 속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폭력에 노출되어 있는데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치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바뀌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폭력은 고리처럼 연결되어 순환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둘째는 인물의 순환구조로 희곡 「파수꾼」에 등장하는 파수꾼 ‘다’는 극의 진행에 따라 서서히 진실을 알게 된다. 그러나 진실을 알게 되었다는 이유로 망루를 떠날 수 없는 파수꾼의 삶을 살게 되는데 파수꾼 ‘다’의 삶은 진실을 은폐하면서 살아가는 파수꾼 ‘가’와 ‘나’의 삶이 순환되는 구조임을 보여준다.
  셋째는 위기 조장의 순환으로 파수꾼 ‘가’의 반복적인“이리떼다”란 외침은 희곡「파수꾼」의 기본 구조가 되고 있으나 이 반복은 그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희곡 「파수꾼」에서 마을의 상황은 전혀 변화되지 않으나 관객과 파수꾼 ‘다’는 극의 진행에 따라 진실을 인식하게 되는 변화의 과정을 겪게 된다. 즉 상황이 단순한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극의 마지막은 변화의 과정을 거쳐서 다시 시작의 시점으로 되돌아 오는 순환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
  넷째, 작가는 인간 존재를 「파수꾼」에서 비극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등장인물 모두는 비극적인 삶의 소유자들이다. 등장인물들은 진실이 왜곡된 부조리한 상황의 반복으로 인해 삶의 두려움, 불안감, 외로움 등의 심리적 폭력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나 인간 개인의 힘으론 그 폭력적인 삶 속에서 결코 헤어날 수 없으며 진실이 왜곡된 모순된 부조리한 삶을 이어가게 된다. 이강백은 「파수꾼」에서 인간의 부조리한 현실은 순환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인간 존재는 비극적이라는 메시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상에서 「파수꾼」은 알레고리라는 문학적 장치를 통해 당대 1970년 대의 정치적 시대상 만을 단순하게 드러낸 작품이 아니라 부조리한 현실이 순환되는 삶을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인간 존재의 보편적인 비극성을 표현한 작품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즉, 진실이 왜곡되고 폭력이 내재된 현실을 살아 갈 수 밖에 없는 현대인들의 비극적인 삶을 표현한 것이라 보는 시각이 보다 작품의 본질에 접근한 해석방법일 것이다.

영문 초록

  Many of his(yi Gang-Bak) drama understanded that an allegory of the political written by 1970s. But That is too much arbitrary and limited definition with political states. It is important to get out of external standpoint and necessary to understand drama itself. So This article showed the structure of drama with a point of view through four ways that emphasis on understand of drama itself.
  First, The structure of cycle in violence. This drama"s all characters were suffered the violence. And the harmer and suffer"s states were changed and cycled.
  Second, The structure of cycle in character. All watchman"s life were repeated. Because They were absurd in pervert of truth and the state were not changed.
  Third, The structure of cycle in promotion of crisis. The promotion of crisis in drama is repeated but it is different beginning and ending. because the states were changed slowly after did over again.
  Forth, Man is a tragedy being. All characters have a tragic state in 「A watchman」. Because they were absurd in pervert of truth.
  To understand A watchman"s allegory is continuous with a political states by 1970s is arbitrary and limited definition. To understand of drama itself A watchman"s allegory is continuous with the tragedy of human being that is universal truth in modern people"s tragedy life. And this way clos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 watchma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선(Kim Mi Sun). (2008).이강백의 희곡 「파수꾼」에 나타난 순환 구조. 인문사회과학연구, 9 (1), 21-42

MLA

김미선(Kim Mi Sun).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에 나타난 순환 구조." 인문사회과학연구, 9.1(2008): 2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