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략적 방법을 활용한 역할극 연구: 언어습득시기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243
- 영문명
- On the study of role play using the strategic methodology: With respect to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mprovement in language acquisition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최숙희(Choe Sook Hee) 김성헌(Kim Sung-Hun)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1권 1호, 203~2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justify the effects of role play with respect to speaking and listening functions and to provide the strategic methodology for improving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of fif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We can expand role play as a strategic teaching method to develop English learning models, so that English can be more easily acquired to the students who are in the critical language acquisition period. Strategic role play reflects the events and experiences of many kinds of people in everyday life. It is suggested that one of the best methods to improv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primary classroom is through role play. Students can develop meaning for language patterns by portraying situations in which these instances in language would be used. This study proposes to facilitate English communicative ability using various student-centered role play strategies.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ent-centered activities using strategic role play help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is done by deriving their own creative dialogues and presenting the role play with their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and with subsequently positive learning effects.
목차
Ⅰ. 서론
Ⅱ. 역할극과 의사소통능력
Ⅲ. 연구방법: 전략적 역할극 적용
Ⅳ. 역할극 전략 분석 및 활용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Integrative and Instrumental Orientations o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 전략적 방법을 활용한 역할극 연구: 언어습득시기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 L2 Learning Motivation1) in Technology Enhanced Instruction: A Survey from Three Perspectives
- 웹기반 피드백 유형이 대학생들의 영작문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형태에 초점을 맞춘 교수가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 영작문 교육을 위한 탐색
- 『사랑하는 여인들』다시 읽기: 생태학적 접근
- EFL 상황에서의 프로젝트 학습법 활용 방안
- 한국 대학에서 영미소설 가르치기
-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문화소재 분석과 지도방안
- 영어 교재에 사용된 시각 자료 비교 연구
- 재음절화에 의한 장모음화 연구
- Increased Accuracy in Dictation by Korean College Students When Using the Korean Alphabet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회칙 외
- 전이성과 인지적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From Reading Nonsensical Jabberwocky to Proposing Topics for English Pedagogy
- 영어어문교육 제29권 제3호 목차
- Think and You Know as Discourse Markers among Korean Speakers of Englis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