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한말 통속교육 및 사회교육개념의 도입과 그 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3

영문명
A Study of Introduc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Tongsok-Kyoyuk and Social Education In the Late Korean Empire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이정연(Jeong-Yun Lee)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9권 제1호, 83~11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5.0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근대적 사회교육의 기원을 재검토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해 오지 않았던 사회교육의 역사적 성격을 밝히고, 사회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한국의 근대적 사회교육은 식민지시대에 일본이 조선인을 동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강제적으로 도입했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왔으나, 실제로는 그 이전인 퉁감부시대에 한국학부의 학무국의 사무로서 통속교육이, 그리고 한국 개화파지식인들을 중심으로는 사회교육개념이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의 학부기록에 의하면, 현실에서 당시의 정부는 한국인의 관공립학교에로의 입학기피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학부형 및 일반민중에게 관공립학교를 선전하고, 취학을 독려하는 다양한 교화활동을 시행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1880년대 중반일본에서 근대국가형성을 위한 '국민교육'의 차원에서 소학교의 취학률을 높이기 위해 행해졌던 통속교육활동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들이 일본의 경우는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낮아진 취학률을 높이거나 민중의 교육조직을 지도하기 위한 것이었던 것에 비해 한국의 경우는 한국의 교육이 일본의 손에 넘어간 후 발생한 관공립학교에 대한 한국인의 입학기피현상을 해결하고, 통감정치를 정당화해 가기 위한 것으로써 그 근저에는 근대국민=일본신민(臣民)의 형성이라는 지향점이 공통적으로 내재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사회교육이라는 용어 및 개념은 주로 한국 개화파지식인들을 중심으로 행해진 국권회복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의 단계에서 그 자신들에 의한 근대국가형성을 위해 국가의 구성원인 '국민'을 창출해 가는 가운데 민중계몽의 수단으로써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즉 의무교육제도의 확립과 학교교육의 경험이 일반화된 후에 사회교육개념이 성립되어 간 일본과는 달리 한국의 사회교육개념의 도입은 국권수호를 위한 국민교육제도의 확립을 위한 학교교육의 보급을 구상·계획하는 근대화 과정에서 그것들과 동시에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n error of its existing historical research in Korean social education and to require new approach to social education by reviewing the origin of social education in Korea which has denied even the tenn of social education, with social education system's transforming to the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recently. It has been said until now that Korean social education was introduced by Japan forcibly as the means to assimilate Korean through Japanese colonization(1910-1945). But, this study tried to make clear that according to those journals from various Hakhoe associations organized by its intellectual to save and to awaken their own country in the late Korean Empire (1905-1910), social education had already been introduced by intellectuals in Korea before those days. Also, I tried to clarify that Tongsok-Kyoyuk had been using as an administrative tenn in the late Korean Empire. Even th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ongsok-Kyoyuk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made clear that Tongsok-Kyoyuk had strong character to enlighten people in Korea. Also, This study made clear that the tenn of social education had been generally used around Korean intellectuals, and social education itself was positively introduced as the means of enlightening people in Korea and their spiritual education for the national salvation in the late Korean Empire. As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argument related to Korean social education from the new angle of view after this must be don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of the above Tongsok-Kyoyuk and social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메이지(明治)시대(1868~1912) 일본의 사회교육개념의 형성과정
Ⅲ. 구한말 제도로서의 통속교육의 도입과 그 실태
Ⅳ. 구한말 사회교육개념의 도입 및 그 실태 - '학회'의 기관지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연(Jeong-Yun Lee). (2003).구한말 통속교육 및 사회교육개념의 도입과 그 실태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9 (1), 83-115

MLA

이정연(Jeong-Yun Lee). "구한말 통속교육 및 사회교육개념의 도입과 그 실태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9.1(2003): 83-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